
안성시의 공공하수도 보급률과 하수도 설치율이 2017년에 이어 2018년에도 경기도 31개 시군구 중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.
2018년 안성시의 공공하수도 보급률은 78.1%로 전년도 77.8%로 보다 0.3%상승했지만 여전히 경기도 31개 시군중에서 가장 낮았다.
뿐만 아니라 안성의 하수도 설치율도 2018년 50.4%로 전년도 49.1%보다 소폭 상승했지만 역시 경기도 31개 시군중에서 최하위였다.(표1참조)
안성시의 15개 읍면동의 상황을 살펴보면 고삼면의 경우 하수도 보급률이나 하수도 설치율이 0% 인 것으로 나타나는 등 특히 면지역의 상황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.(표2참조)
이 같은 사실은 환경부가 공개한 “2018년 하수도 통계”를 통해 확인됐다.
해당 통계는 전국 하수처리장의 설치 및 운영 자료, 정화조 등 개인하수처리시설 현황, 하수도 사용료 등 국내 하수도 전반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.
이 통계에 따르면 전국 공공하수도 보급률(우리나라 인구 중 공공하수도를 제공받는 인구)은 2017년 93.6%에서 93.9%로 0.3%p 증가했다.
하수도 통계에는 이외에 각종 하수도 관련 통계가 포함되어 있으며 ‘2018년 하수도 통계’의 상세 자료는 환경부 누리집(www.me.go.kr)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.
표1)경기도 31개 시군 하수도 관련 주요 통계 지표
구군 |
총인구(명) |
총면적(㎢) |
공공하수처리구역 인구보급률(%) |
고도처리인구 보급률(%) |
하수도 설치율(%) |
전국('18) |
53,072,685 |
99,585.727 |
93.9 |
90.5 |
76.8 |
경기도 |
13,485,679 |
10,500.142 |
94.6 |
94.4 |
81.7 |
수원시 |
1,242,212 |
121.000 |
99.4 |
99.4 |
91.5 |
성남시 |
972,280 |
233.039 |
99.7 |
99.2 |
99.7 |
의정부시 |
451,542 |
82.610 |
98.8 |
98.8 |
96.5 |
안양시 |
584,239 |
26.032 |
100.0 |
100.0 |
85.9 |
부천시 |
868,106 |
53.080 |
99.9 |
99.9 |
99.9 |
광명시 |
333,114 |
38.500 |
98.9 |
98.9 |
92.0 |
평택시 |
518,672 |
460.088 |
77.4 |
77.4 |
77.1 |
동두천시 |
99,566 |
95.500 |
98.9 |
97.9 |
98.9 |
안산시 |
717,130 |
155.200 |
99.1 |
99.1 |
98.4 |
고양시 |
1,056,853 |
268.050 |
93.8 |
93.8 |
69.7 |
과천시 |
58,325 |
35.813 |
98.5 |
98.5 |
96.2 |
구리시 |
204,977 |
33.290 |
99.7 |
99.2 |
89.6 |
남양주시 |
688,965 |
459.612 |
96.6 |
96.6 |
83.2 |
오산시 |
229,520 |
42.800 |
98.1 |
98.1 |
98.1 |
시흥시 |
483,327 |
142.400 |
94.6 |
94.6 |
66.1 |
군포시 |
283,876 |
36.360 |
99.8 |
99.8 |
94.5 |
의왕시 |
155,084 |
54.374 |
99.0 |
99.0 |
76.6 |
하남시 |
256,760 |
93.040 |
95.4 |
95.4 |
81.1 |
용인시 |
1,053,522 |
591.344 |
95.7 |
95.7 |
90.7 |
파주시 |
463,122 |
672.830 |
93.8 |
93.8 |
72.2 |
이천시 |
221,585 |
461.310 |
91.5 |
91.5 |
81.8 |
안성시 |
194,954 |
551.416 |
78.1 |
76.4 |
50.4 |
김포시 |
443,019 |
274.601 |
88.2 |
88.2 |
76.1 |
화성시 |
798,100 |
694.200 |
84.0 |
84.0 |
72.9 |
광주시 |
376,819 |
430.960 |
94.5 |
94.5 |
94.5 |
양주시 |
224,250 |
564.562 |
92.7 |
92.4 |
74.7 |
포천시 |
163,474 |
826.500 |
84.9 |
71.6 |
63.5 |
여주시 |
115,074 |
608.000 |
82.2 |
82.2 |
56.2 |
군부 |
227,212 |
2,393.631 |
80.7 |
77.9 |
60.2 |
연천군 |
45,606 |
676.370 |
86.8 |
86.8 |
66.5 |
가평군 |
63,936 |
839.460 |
80.3 |
70.6 |
57.3 |
양평군 |
117,670 |
877.801 |
78.4 |
78.4 |
59.3 |
표2) 안성 15개 읍면도 하수도 관련 주요 통계 지표
행정구역 |
총인구(명) |
총면적(㎢) |
공공하수처리구역 인구보급률(%) |
고도처리인구 보급률(%) |
하수도 설치율(%) |
|
구군 |
행정 구역명 |
|||||
전국 |
|
53,072,685 |
99,585.727 |
93.9 |
90.5 |
76.8 |
경기도 |
|
13,485,679 |
10,500.142 |
94.6 |
94.4 |
81.7 |
안성시 |
|
194,954 |
551.416 |
78.1 |
76.4 |
50.4 |
안성시 |
공도읍 |
58,807 |
32.920 |
92.9 |
91.7 |
82.1 |
안성시 |
보개면 |
6,092 |
53.030 |
36.2 |
34.4 |
17.1 |
안성시 |
금광면 |
8,112 |
71.710 |
52.6 |
50.1 |
22.2 |
안성시 |
서운면 |
4,106 |
35.980 |
19.4 |
16.5 |
19.4 |
안성시 |
미양면 |
6,773 |
33.880 |
43.3 |
40.9 |
20.4 |
안성시 |
대덕면 |
19,113 |
31.166 |
64.7 |
60.3 |
37.2 |
안성시 |
양성면 |
5,873 |
53.160 |
21.6 |
20.1 |
14.0 |
안성시 |
원곡면 |
6,420 |
37.790 |
67.9 |
65.1 |
54.1 |
안성시 |
일죽면 |
8,569 |
55.540 |
80.8 |
76.8 |
51.1 |
안성시 |
죽산면 |
7,848 |
57.290 |
64.3 |
62.8 |
36.2 |
안성시 |
삼죽면 |
3,955 |
36.030 |
31.8 |
29.3 |
24.1 |
안성시 |
고삼면 |
2,127 |
27.790 |
0.0 |
0.0 |
0.0 |
안성시 |
안성1동 |
13,621 |
6.720 |
99.1 |
98.4 |
45.5 |
안성시 |
안성2동 |
22,978 |
10.170 |
98.2 |
97.9 |
47.7 |
안성시 |
안성3동 |
20,560 |
8.240 |
97.4 |
96.8 |
69.0 |